칼럼

[횡설수설] 중국의 협량(狹量)

발행일: 2007-07-31  /  기고자: 허문명
면종: 오피니언·인물
 

한국문학번역원 중국어판 담당자인 박경희(44) 박사는 이달 초 베이징에 있는 중국인민문학출판사를 방문했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8월 베이징 도서전에 선보이기 위해 번역본 출간을 의뢰했던 소설가 김훈 씨의 ‘칼의 노래’가 ‘임진왜란 때 참전한 명나라 군대를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이유로 거부당한 것이다. 몇 달 전 대만 중국어판(2005)을 보고 “중국의 도움으로 일본을 물리친 스토리가 사실적으로 그려졌다”며 계약을 서둘렀던 것과는 180도 다른 태도였다.

 

▷중국 공산당의 검열에 걸린 게 원인이었다. 번역원은 4월에도 톈진(天津) 백화문예출판사로부터 전상국의 소설집 ‘우상의 눈물’의 출간계약을 해지당했다. 6·25전쟁을 다룬 이 소설이 북한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미 중국어로 번역을 마친 ‘삼국유사’도 여러 출판사와 접촉했지만 계약에 실패했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신라 백제 고구려 3국 중 고구려는 중국의 역사이지 한국의 고대사가 아니라며 퇴짜를 놓았기 때문이다.


▷중국 측의 주장은 억지다. ‘칼의 노래’의 배경인 임진왜란만 해도 명나라가 조선에 지원군을 보낸 것은 조선을 돕겠다는 의사보다 일본이 명나라까지 공격해 오는 걸 더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조선에 온 명군(明軍)은 싸울 능력도 의사도 없었다. 수시로 철군을 주장했다. 유성룡의 징비록은 ‘특히 명군의 장세작이라는 장수는 철군을 반대하는 우리 장수에게 발길질까지 했다’고 적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놀고먹는 명군의 식량을 대느라 백성들이 극심한 굶주림에 허덕였다는 기록도 나온다.


▷예부터 대국(大國)임을 자랑해 온 중국이 역사 왜곡에 이어 사실(史實)을 바탕으로 한 문학 작품의 자국 내 출판까지 허용하지 않겠다는 건 협량(狹量)이다. 단지 사회주의 체제여서 그런 것일까. 단재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중국은 공자의 춘추(春秋) 이래 ‘위중국휘치(爲中國諱恥·중국에 수치스러운 일은 감춘다)’가 역사가들이 떠받드는 유일한 종지(宗旨)다”라고 썼다. 그의 혜안이 새삼 놀랍다.


<허문명 논설위원> angelhuh@donga.com

목록

댓글 0개 / 답변글 0

댓글쓰기

‘ 칼럼 ’의 다른 글

트럼프와 아베의 밀착, 역사 다시 쓰고 있는 미일동맹 2019-05-31
김영철은 왜 경칠됐을까 2019-04-29
[횡설수설] 중국의 협량(狹量) 2007-07-31
[광화문에서 ] 高卒화가 안창홍 2007-07-30
[횡설수설] ‘더 치트’ 200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