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조동일 교수, 문학인 實名거론 ‘쓴소리’

발행일: 2005-08-13  /  기고자: 허문명
면종: 종합
 

《'시인 김수영(金洙暎)은 소심한 모더니스트였다. 창비의 백낙청(白樂晴)은 처신을 중요시했는지 김지하(金芝河)의 시를 게재하지 않았다. 김지하는 도사인 척 하지 말고 시인으로 거듭나라.' 조동일(趙東一·66·국문학) 계명대 석좌교수 겸 서울대 명예교수가 13일 강원 인제 백담사 만해마을에서 열릴 문인협회 주최 '광복 60년 맞이 한국문학인대회 기념 심포지움'에서 '1960년대 문학활동을 돌아보며'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문단에 쓴 소리를 할 예정이다. 1960년대초 학생운동으로 투옥된 경력이 있는 조 교수는 '인문학의 위기'를 주장하며 학교 보직은 물론 학회 임원까지 사양하면서 평생 '연구'에만 매달린 학자. 그런 조 교수가 한국 문학계를 대표했던, 지금도 '신화'처럼 여겨지는 주요 인사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비위가 거슬릴 수도' 있는 과거의 기억을 이야기하는 것이어서 화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강연 원고를 요약 소개한다.》


김지하는 ‘오적(五賊)’ 같은 시를 써서 군사정권과 정면으로 맞서 투쟁하다 감옥에 가서 모진 고초를 겪고 건강이 많이 상했으니, 참으로 미안한 일이다. 이름이 나라 밖에서까지도 너무 높아져 착심(마음을 붙임)하기 어렵게 한 것이 또 하나의 심각한 피해였다. 얼마 전에 (그와) 대담을 할 기회가 있었다. 새로운 사상을 열겠다고 하면서, 시를 쓰는 본업에서 너무 멀리 이탈하지 마라, 어수룩하게 살면서 못난 시도 버리지 않고 거두는 것이 슬기로운 자세이다, 이런 충고를 했다.


오랫동안 힘들게 했던 부담과 긴장에서 벗어나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기 바란다. 도사 같은 소리 그만두고, 할 말을 시로 나타내라. 주석에는 신경 쓰지 말고 본문만 써라. 비평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할 일을 남겨 두어라. 인류 역사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는 새로운 사상을 일거에 깨달아 선포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누구도 그렇게 할 수 없으니, 지나친 기대는 버리자(중략).


김수영은 서구 추종의 모더니스트이고 또한 지식인의 자폐증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가 시대가 달라지는 소리를 듣고 깨어났다.  나는 김수영이 모자란다고 생각하는 점을 자주 지적했다. 서울대 문리대 강당에서 열린 공개토론에서는 지식인이 자기반성을 한다면서 대안은 찾지 못한다고 나무랐다. 외톨이가 되어 혼자 번민하고 있을 따름이고 민중과 함께 나아가지 못하고 민족의 현실을 크게 보지 못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서 김수영은 변명다운 변명을 하지 못했다(중략).


1960년대 김지하의 시 ‘황톳길’을 포함한 예닐곱 편을 ‘창작과 비평’을 내고 있는 백낙청에게 주고 실어 달라고 했다. (나는) 대단한 것을 갖다 주었으니 크게 감사하리라고 생각했는데, 결과는 반대였다. 얼마 뒤에 백낙청은 게재 불가라는 판정 결과를 통보하고 작품을 되돌려주었다. 나중에 백낙청이 그 일을 회고하면서, (김지하) 작품을 김수영에게 보였더니 게재 불가의 의견을 내더라고 했다. 김수영은 인민군의 군가이지 무슨 시냐고 했다는 것이다.


김수영 특유의 소심함이 지나칠 정도로 나타난 피해망상증이라고 할 수 있는 반응이다. 백낙청이 이를 그대로 따른 것은 시를 잘 몰라 실수를 하지 않았다면, 문학보다 처신을 더욱 중요시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당시 백낙청에게) 퇴짜 맞은 일을 회고하면서 김지하는 ‘시인이 될지도 모른다는 자그마한 생각이나마 아예 접어버렸다’고 했다. 그러고 말았으면 얼마나 큰 손실인가. 


위세 당당한 ‘창작과 비평’에서 무엇을 했단 말인가? 김지하만 한 시인을 등장시킨 적 있는가 묻고 싶다. 김지하에 대한 평가가 널리 정착된 다음,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넌다는 격으로 그 잡지사가 제정한 만해문학상인가 무언가를 주었다. 김지하는 두말하지 않고 감사하다는 듯이 받았지만 나 같으면 정중히 거절했을 것이다.

 

<허문명 기자> angelhuh@donga.com

 

목록

댓글 0개 / 답변글 0

댓글쓰기

‘ 기사 ’의 다른 글

[경제사상가 이건희 탐구①] “비효율이 비도덕이다” 2020-12-03
[경제사상가 이건희 탐구②] “정신 안 차리면 구한말 온다” 2020-12-03
조동일 교수, 문학인 實名거론 ‘쓴소리’ 2005-08-13
‘문화 바캉스’ 도심서 즐겨요 2005-08-01
[명복을 빕니다] 서기원 前 KBS사장 별세 2005-08-01